728x90 업무관련6 [GIT] Eclipse git merge conflict 간단 해결방법 업무하다가 새로운 CBO pull 받고 개발하던 소스 stash 내려받았더니 컨플나서 메모해둠 프로젝트 우클릭 > Team > reset 하기 Reset Type 3가지 Soft(HEAD updated) : reset 하기 전 현재 소스는 남겨놓기Mixed(HEAD and index updated) : 현재 소스 남겨둔 상태에서 마스터(또는 브랜치) 소스로 돌아가서 add 할지 말지 결정. Hard(HEAD, index, and working tree updated): 현재 소스 다 사라지고 마스터 소스(또는 브랜치)로 reset결론부터 말하자면 Hard(HEAD, index, and working tree updated)를 선택한 후 Reset을 해주면 현재 내 로컬에서 수정된 부분은 모두 사라지고.. 2024. 12. 20. 네트워크 백본 고도화 (SDN, 대외계, 백본 등) 요즘 내가 있는 사이트에선 백본 고도화 작업이 한창이다. 꽤 큰 프로젝트로 근 3개월에 걸쳐 진행중인데거의 매주 주말 밤새 작업을 하기때문에 업무별 담당자들도 돌아가면서 모니터링 지원을 하고있다. 해당 프로젝트에서 여러 장비들을 파트별로 나눠서 Fail Over, 본작업을 진행하고 있는데(SDN, 대외계, 백본 등작업계획서 등을 보면서 잘 모르는 용어들이 있어서 이 기회에 정리해본다! SDN 네트워크란?SDN(Software Defined Network)이란 소프트웨어를 통해 네트워크 리소스를 가상화하고 추상화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에 대한 접근 방식을 의미한다.https://suyeon96.tistory.com/48 [Network] SDN(Software Defined Network) 이란?SDN이란?.. 2024. 9. 13. AES256 암복호화 키값 변환(BYTE TO HEX) 신규 서비스 암복화 개발시 Key와 iv값을 주고 받는데 보통 byte 혹은 hex btye로 데이터를 주고받는데데이터 변환시 참고하자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tr = "test1234 한글포함"; System.out.println("입력 : " + str); byte[] bytes = str.getBytes(StandardCharsets.UTF_8); StringBuilder result = new StringBuilder(); for (byte b : bytes) { result.append(String.format("%02X", b)); } String hexStr = re.. 2024. 8. 19. [IT지식] MDD(Model Driven Development) / RSA MDD라는 단어를 듣고 그게뭐지? 라고 했는데찾아보니 예전에 사용하던 RSA툴과 같은 방식의 개발방법론을 일컫는 거였다.그나저나 우리회사는 이제 왜 더이상 RSA를 사용하지 않는가... (라이센스 이슈라고 들은거 같기도) 시간날때 찬찬히 다시 읽어보자! 27.MDD(Model Driven Development) 란?2013년 이후 금융 차세대 시스템에서는 MDD 개발 방법론이 수주의 전략이 되었다. 2012년 지방 은행이 ...blog.naver.com 2024. 5. 17. [Git] Hotfix로 conflict 해결하기 개발을 하다보면 같은팀에서 여러명이 동시에 개발을 진행하기 때문에 개발해야하는 소스가 겹치는 순간들이 있다. 이때 조심스러운게 브랜치에 PR 올리는 순간... conflict 가 떨어지면 머리 아프다 ㅜㅜ 우리업무에서는 Local - DEV - STG - CBO 총 3개의 브랜치를 사용하는데 특히 STG에서 컨플이 떨어지면 꽤 심장이 쫄깃해진다.. 최근 긴급반영건에서 STG 컨플이 떨어졌던 순간이 있어서 간단하게 해결했던 방법을 메모해놓으려고 함 1. 브랜치 기본 구조 CBO : 실제 운영소스 STG : 검증계DEV : 개발계LOCAL : 내가 개발하는 브랜치 (feature)2. 상황 : STG 브랜치에 PR 요청시 conflict 발생 3. 해결방법 :STG 브랜치에 hotfix 브랜치 생성.. 2023. 9. 17. [암호화] AES-256 암호화 관련 정의 및 HSM 대외계로 요청/응답의 서비스를 개발하다가 보면 개인정보 항목의 경우 암호화 처리를 하는 경우가 있다. 대외계(기관/타회사) 마다 사용하는 암호화의 방식이 다른데 최근 신규 서비스를 개발하면서 AES 암/복호화 처리하는 개발을 하게되서 (이미 한참되었지만 이제야 정리한다)읽기목록에 저장해 두었던 내용을 정리할까함. 단방향 암호화 알고리즘 / 양방향 암호화 알고리즘의 차이점먼저 단방향 암호화는 평문을 암호화 했을때 다시 평문으로 되돌리는것(복호화)을 할수없는 암호화 방식.패스워드 암호화에 사용되며, 대표적으로 'SHA-256'이 있다. 양방향 암호화는 평문에서 암호문으로, 암호문에서 평문으로 변환할 수 있는 방식으로 대표적으로 'AES-256'이 있다.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비밀번호, 바이오정보, 주민.. 2023. 9. 10.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