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Spring2

Spring - Part1-2 스프링의 특징과 의존성 주입 2. 스프링의 특징과 의존성 주입의존성 주입(DI) 방식의 기본 개념A는 B가 필요하다는 신호만 보내고, B객체를 주입하는것은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방식. DI를 사용하려면 A,B외에 바깥쪽에 추가적인 하나의 존재가 필요(=Application Context)하며, 이 존재는 의존성이 필요한 객체(A)에 필요한 객체(B)를 찾아서 '주입'하는 역할을 함. 따라서 스프링을 이용하면 기존의 프로그래밍과 달리 객체와 객체를 분리해서 생성하고, 이러한 객체들을 엮는 작업을 하는 형태의 개발을 하게됨. (=Bean 생성)ApplicationContext가 관리하는 객체들을 'Bean'으로 부르고, 빈과 빈 사이의 의존관계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XML 설정, 어노테이션 설정, Java 설정 방식을 이용함.   //Ch.. 2022. 1. 10.
Spring - Part1-1 스프링 개발 환경 구축 (개발환경설정)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개정판] https://cafe.naver.com/gugucoding1. 개발환경설정  기본설정 @eclipse//UTF-8 설정 Window > Preferences > General > Workspace => Text file encoding 'UTF-8'으로 변경 Window > Preferences > Web => HTML, CSS, JSP Create files 'UTF-8'으로 변경//STS 설정 Help > Install New Software.. > Name & Location 경로는 찾아보기.//Tomcat 설정 Tomcat 다운로드 및 설치//스프링 프로젝트 생성 Spring Legacy Project > Spring MVC Project 생성 .. 2022. 1. 10.
728x90